AUTO DESIGN AWARD
KO
EN
Dailycar News

수출 확대로 전환한 중국차, 글로벌 시장 점유율 22.0%..현대차·기아 대응 ‘주목’

Hyundai
2025-11-26 11:28
BYD 씰 SEAL
BYD 씰 (SEAL)

[데일리카 하영선 기자] 중국 완성차 업체가 내수 경쟁·과잉 생산을 수출 확대로 전환하며 글로벌 영향력을 높이고 있어 주목을 받는다. 러시아, 중남미, 아세안 등 신흥국서 중국차의 급부상으로 한국차 입지가 부담되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26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가 발표한 ‘중국 자동차 글로벌 진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완성차 업계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판매·생산 거점을 넓히며 지난 2024년 기준 글로벌 점유율 약 22.0%를 기록했다.

중국계 브랜드는 거대 내수시장 60% 이상을 점유하며 성장 기반을 확보했고 내수 경쟁 심화와 과잉 생산능력 해소를 위해 공격적으로 해외 진출, 가격 경쟁력과 전기차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확산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권역별로는 러시아·CIS와 중남미·ASEAN·중동·아프리카 등 신흥국에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 유럽·대양주 등 선진국에서도 전기차 중심 존재감 확대하고 있다.
러시아·CIS는 러-우 전쟁 이후 글로벌 OEM 철수로 생긴 공백을 중국계 브랜드가 대체하며 점유율이 급증하고 있다. 다만, 러시아 정부의 재활용(폐차) 수수료 및 수입 관세 인상, 현지 부품 사용 비율 의무화 등 자국 산업 보호 강화 정책으로 추가 확대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샤오펑 P7
샤오펑 P7

중남미·ASEAN·중동·아프리카에서는 가성비를 앞세운 모델과 현지 조립·생산 투자를 결합해 가격·공급 측면 우위를 강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또 유럽·대양주에서는 관세·보조금 축소 등 제약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수요 확대에 힘입어 중국계 브랜드 판매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전기차(EV·PHEV) 시장에서는 중국계 점유율 확대가 두드러져, 신흥국의 경우 중국계 브랜드가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해들어 3분기 기준으로 중남미 전기동력차 판매의 88.2%를 중국계 브랜드가 차지, 태국·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중국계가 전기차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유럽 28개국의 중국계 전기동력차 판매는 전년대비 91% 증가, Jetour·NIO 등의 신규 진입과 Xpeng·BYD 현지 생산으로 향후 추가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또 중국 자동차의 글로벌 판매 확대에 따라 ▲현지 대응력 제고를 위한 전략 ▲국내 생산 기반 유지 및 R&D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신흥국에서 중국계 급부상으로 한국계 입지 약화 우려, 정부 간 적극적인 통상 대화를 통한 현지 대응력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

니오 파이어플라이 Firefly
니오 파이어플라이 (Firefly)

신흥국 구매력 상승이 글로벌 신차 수요 확대의 주요 동력인 만큼, FTA 확대 등 전방위 협력을 통해 원활한 진출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수출시장 다변화 과정에서 중국과의 경쟁 심화 불가피, 저가 공세에 일정 부분 대응하기 위해 국내생산촉진세제 등 제도적 지원 필요성 대두된다.

올해 3분기 대미 자동차 수출은 6.6% 감소했으나 유럽·남미·아프리카 증가분이 감소세를 완화, 동 지역에서 중국계와의 경합 가능성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중국업계 기술 경쟁력 고도화로 미래차 전환 가속, 국내 기업 R&D 역량 강화가 핵심 과제로 부상하면서 관련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샤오미·화웨이 등 ICT 기업 가세로 중국 내수 경쟁은 기술 중심으로 전환, 이러한 양상이 해외로 확대될 시 국내 기업 주도권 확보에 제약이 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BYD 씨라이언 7SEALION 7
BYD, 씨라이언 7(SEALION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