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 DESIGN AWARD
KO
EN
데일리카 뉴스

[임기상 칼럼] 고령화 시대, 교통사고 줄이기 위한 모빌리티 혁신 방안은?

Hyundai
2024-06-25 16:05:20
현대차 아이오닉 6
현대차, 아이오닉 6

자동차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자동차의 증가와 함께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역시 급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통계 이상의 문제로, 수많은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와 교통사고 현황은 2019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대의 자동차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이는 매년 약 8,824만 대의 신차가 판매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자동차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세는 각국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자동차 보유의 대중화가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증가는 교통사고의 증가로 이어진다. 매년 약 5,000만 명이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하고, 약 125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이는 하루 평균 약 3,400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셈이다. 이러한 통계는 단순히 숫자에 그치지 않고, 많은 가정과 사회에 큰 충격과 슬픔을 안겨준다.

현대차 아이오닉 5 N
현대차 아이오닉 5 N

특히 한국에서도 자동차 보유 대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한국의 자동차 등록 대수는 약 2,600만 대에 이른다. 이와 함께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2024년 한 해 동안 한국에서는 약 21만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약 2,900명이 사망하고 30만 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전세계 공통적인 교통사고 증가 원인은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령 운전자와 고령 보행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령 운전자는 반사 신경이 늦어지고, 시야가 좁아지는 등 운전에 불리한 조건이 많다. 고령 보행자 역시 이동 속도가 느리고, 판단 능력이 떨어져 사고 위험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령 운전자에 대한 운전 면허 관리 강화와 함께, 고령 보행자를 위한 안전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기아 EV9
기아 EV9

2023년 한 해 동안 약 13억 3,950만 대의 스마트폰이 판매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약 70억 대의 스마트폰이 보급됐다.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은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사고 위험을 크게 높인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전통적인 모빌리티 모델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자율주행차, 전기차, 공유 모빌리티 등이 그 예다.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는 교통사고를 줄이고,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며,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실수를 최소화하여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특히, 피로나 주의 분산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전기차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지보수 비용이 적어 경제적이다. 차량 공유 서비스는 개인 차량 소유의 필요성을 줄여주며, 이는 도로 위 차량 수를 감소시켜 교통 혼잡과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제네시스 GV60
제네시스 GV60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이 필요하다.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보급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 운전자들에게 안전 운전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음주운전, 과속 등의 위험성을 알리는 캠페인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는 도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이는 교통법규 강화, 교통사고 예방 인프라 확충 등을 포함한다. 전 세계적인 교통사고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각국의 교통사고 데이터를 공유하고, 성공적인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글로벌 차원에서의 안전 운전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여전히 심각한 문제다. 그러나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 역시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자율주행차, 전기차, 공유 모빌리티 등의 도입과 확산을 통해 교통사고를 줄이고, 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교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쉐보레 이쿼녹스 EV
쉐보레 이쿼녹스 EV

다른 나라들의 성공적인 교통사고 감소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스웨덴의 '비전 제로(Vision Zero)' 정책은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기여했다. 이 정책은 도로 설계 개선, 엄격한 교통법규 적용, 그리고 대중교통의 확대 등을 포함한다.

한국도 이와 같은 정책을 적극 도입하고, 한국의 현실에 맞게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기술과 정책, 교육이 함께 어우러진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모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르노코리아 XM3 ETECH  for all
르노코리아, XM3 E-TECH for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