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를 비롯한 중국산 전기차의 글로벌 공략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미국은 관세 25%로 진출조차 못했지만 약 10%인 유럽은 이미 독일을 비롯하여 곳곳에 20% 이상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공포감을 느낀 미국을 필두로 미국은 100% 관세를 부과하였고 유럽도 평균 30%를 넘는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 공세를 막시 시작했다.
미국은 이번 100% 관세 부과 이전에도 높은 관세로 중국산 전기차는 진출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적인 이슈를 부각하면서 미중간의 경제 갈등을 높이고 있다고 하겠다. 그 만큼 글로벌 시장으로의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 다양한 제품의 공략은 확실히 규제하지 않으면 중국산 제품에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숨어져 있다고 하겠다.
더욱이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갈등 국면은 더욱 높아질 것이 확실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국과 유럽시장이 막히자 중국산 전기차 등은 중동, 동남아시아 및 남미 등으로 향하고 있다. 이 대상 중의 하나가 바로 한국이라고 하겠다. 바로 엊그제 BYD코리아는 내년 초 한국에 출시하겠다고 공식 선언하였다.
대한민국은 중국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선진 시장이어서 중국의 입장에서는 가장 까다로우면서도 선진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관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장으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시장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면서도 소비자 눈높이를 확인하면서 입증된 제품을 확인하는 시장으로 의미가 크고 이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의 '게이트웨이' 즉 관문으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미 국내 시장은 전기버스의 약 과반이 중국산이고 전기 상용모델도 상당 부분 중국산으로 뒤덮인 상황이어서 마지노선인 전기승용차 시장이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관세 부과는 더 이상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어서 실질적으로는 시장에 맡기어 우리 제품의 구입에 호소를 할 수 밖에 없다고 하겠다. 전기차 보조금의 방법도 물론 내년부터는 환경성 등을 고려하여 LFP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은 없어진다고 하겠으나 이 정도로는 중국산 전기차의 공습을 막기에는 역부족 상태라 하겠다.
마지노선인 전기승용차의 경우는 이미 전반기부터 BYD코리아를 중심으로 '돌핀'과 ‘아토3’ 및 '씰'이라는 세 가지 입증된 모델을 중심으로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고 도입시기만을 결정하는 단계라 하겠다. 물론 올해 중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의 대형 전기차 화재로 인한 이른바 '전기차 포비아'로 인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판매시기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고 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이다.
최근 관련하여 국내 기자 수십 명을 BYD 본사에 초청하여 홍보를 할 예정으로 있어서 예상으로는 내년 3~4월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된다. 입증된 차종 인증과 더불어 딜러 모집과 애프터서비스까지 준비된 만큼 본격적인 초읽기에 접어들었다고 하겠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과연 얼마에 판매할 것인가이다. 보조금을 받지 않아도 국내 동급 모델 대비 최소 500만~1000만원 이상의 격차를 두면서 판매할 경우 대중 모델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현재 작년 후반부터 우리나라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가 주춤한 '전기차 캐즘'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으로 모든 글로벌 제작사의 전기차와 배터리 판매가 주춤한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이러한 현상은 더욱 큰 상황에서 경쟁력 높은 전기차가 판매될 경우 대중 모델을 중심으로 중저가 시장에서 큰 위력을 나타낼 가능성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BYD 전기차 모델은 종류도 많고 입증된 모델이 많은 상황이며, 최근에는 테슬라의 판매규모를 넘어서 글로벌 전기차 최고 제작사로 부각되고 있어서 더욱 국내 판매는 더욱 위력적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하겠다. 지난 3분기는 매출액 측면에서 테슬라를 넘어 글로벌 최고 전기차 제작사로 등극하였다. 최근에는 입증된 전기차 모델은 기본이고 하이브리드차까지 다양하게 모델 출시를 하면서 '전기차 캐즘'까지 극복하는 능력까지 부각되는 상황이라 하겠다.
BYD의 국내 출시는 각종 관세 등 여려 면에서 정부 차원에서 막을 수 있는 방안이 마땅하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우리 국산차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단체 등에서 국산차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여러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산차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몰론 가장 큰 장점인 애프터서비스와 저렴한 공임과 수리기간의 단축 등을 특화하면서 우리 제품에 대한 경쟁력 제고가 더욱 중요한 시기라고 하겠다. 내년 이맘 때쯤 국내 시장에서 BYD의 전기승용차 판매 실적은 어느 정도일까? 생각 이상의 높은 점유율을 예상하면서 걱정부터 앞서는 이유는 그 만큼 이들 차종의 경쟁력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다면 중국 지리자동차의 고급 전기차 모델인 '지커' 등 여러 중국산 전기차가 본격 진출하면서 우리 시장은 해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도 예상할 수 있다. 중국산 전기차 등 다양한 제품의 시작점이 된다는 뜻이다.
소비자는 고민할 것이다. 품질과 가격적인 가성비를 고려하면서도 ‘메이드 인 차이나’의 한계를 극복하여야 하고, 비상 시 탈출 등 전기차 제작사가 안고 있는 안전에 대한 확실한 확보 등도 고랴해야 할 것이다. 물론 전기차 화재 등에 내화성이 강한 LFP배터리의 장점도 구입 요소에 포함될 것이다. 물론 가장 큰 요소는 구입 가격일 것이다.
미래 모빌리티 시장은 앞으로 10년 정도가 미래를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안개 속인 상황이다. 특히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의 공략은 우리 먹거리에 치명적 역할을 줄 수 있고 까닥하면 중국 시장으로 편입되는 악재까지도 생각할 수 있다고 하겠다. 곧 국내 지사를 설립한다는 글로벌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의 CATL의 진출 언급을 들으면서 걱정이 앞선다고 하겠다. 앞으로 우리 시장은 어떻게 될 것인가?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autoculture7@naver.com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인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