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 DESIGN AWARD
KO
EN
Dailycar News

현대차, 1분기 영업이익 3조 6336억 달성..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

Hyundai
2025-04-24 16:03:01
현대차그룹 양재 본사 사옥
현대차그룹 양재 본사 사옥

[데일리카 김경현 기자] 현대차가 이날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미래 전략과 주주환원 방안 등을 발표했다.

이날 24일 현대자동차는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2025년 1분기 실적이 도매 판매 100만 1120대, IFRS 연결 기준 매출액 44조 4078억원(자동차 34조 7181억원, 금융 및 기타 9조 6897억원), 영업이익 3조 6336억원, 경상이익 4조 4646억원, 당기순이익 3조 3822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이라고 발표했다.

1분기 매출액은 판매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하이브리드 판매량을 필두로,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단행돼 전년 동기 대비 9.2%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어 영업이익률은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을 통해 8.2%를 기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매크로(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로 질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같은 기간 글로벌 실적의 경우 총 100만 1120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6% 감소한 수치다. 국내 시장 역시, 총 16만 6360대를 달성해 전년 대비 4%의 증가했다.

반면 미국을 제외한 해외 판매 실적의 경우 내림세를 보였다. 우선 미국 판매는 총 24만 272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전체 해외 판매는 대외 환경 악화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83만 4760대로 집계됐다.

2025년 1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EV 판매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만 2426대를 기록했다. 이중 EV는 6만 4091대, 하이브리드는 13만 7075대로 집계됐다.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9.2% 증가한 44조 407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1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으로, 현대차는 북미 시장의 판매 호조와 함께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매출 상승세를 이어 나갔다. 2025년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9.4% 오른 1453원을 나타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79.8%를 기록했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 관련 비용 및 연구비 증가 등으로 늘었으나,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와 동등한 12.0%를 나타냈다.

이 결과,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1% 증가한 3조 6336억원, 영업이익률은 8.2%로 집계됐다. 우호적인 환율 환경과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 4646억원, 3조 3822억원을 기록했다.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는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 등’이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국가 간 무역 갈등 심화 등 여러 대외 변수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는 이러한 경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디 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 등 신차 판매를 적극 추진하는 동시에 각 시장 별 현지화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적극 실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현대차는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기초해 2025년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원) 대비 25% 증가한 주당 2500원으로 책정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2023년 발표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의거해 ‘발행주식 1% 소각’과 2024년 실시한 주주가치 제고 목적 매입 ‘자기주식 소각’을 동시에 실시하는 주주환원 방안을 발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지속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