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 DESIGN AWARD
KO
EN
Dailycar News

[최해혁 칼럼] 원유 정제 후 석유제품 수출 1위 기록한..95번째 산유국 대한민국의 ‘자부심’

GS Caltex
2025-07-10 00:01:23
현대차 디 올 뉴 팰리세이드
현대차, 디 올 뉴 팰리세이드

우리나라는 자동차 2,300만대와 산업 생산에 필요한 원유를 주된 수입국 중동 페르시아만에서 유조선들이 쉴 사이 없이 실어 나르고 있다. 원유 수입량으로는 세계 6위다. 우리나라에서 중동 페르시아만까지 해상 거리는 25,000㎞(3만리). 자동차로 이동한다면 서울에서 부산을 30번 왕복하는 거리다.

유조선이 중동에 가서 원유를 실어오는 데 왕복 45일이 걸린다. 날짜로 계산하면 페르시아만까지 가는데 16일, 원유를 선적하고 출항하는데 4일, 다시 우리나라로 오는 데(배가 무거워서) 22일이 걸린다. 유조선에 싣고 온 원유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정유사 원유공장의 저장 탱크로 옮기는 데 3일 걸린다. 이처럼 유조선이 원유를 실으러 중동에 가서, 싣고 돌아와 정유공장에 원유를 입고하기까지 총 45일 소요된다.

오일 포트
오일 포트

우리나라는 원유수입 전량을 해로를 통해 들여오기 때문에 해상 수송의 안전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원유 도입 물량의 67%가 중동으로부터 들여오기 때문에 페르시아만, 인도양, 말라카해협, 남중국해, 동중국해의 해양수송로는 매우 중요한 항로다. 특히 페르시아만은 이란의 연해로서 이스라엘과 이란 간 전쟁이 발발하면 호르무즈 해협이 차단될 수 있어 일찍이 다른 국가에서 원유 도입을 다변화해 왔다.

정유사별 원유 수입국을 살펴보면 SK는 원유 67%가 쿠웨이트, 사우디 등 중동산이고 일부 미국과 멕시코산을 수입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90%가 사우디이고, 일부 미국산을 수입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중동산이 40%로 나머지는 미국, 유럽, 러시아산을 수입하고 있다. GS칼텍스는 66%가 사우디와 아랍에미레이트 중동산인데, 최근엔 미국,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카자흐스탄 등 20여 개국에서 원유를 수입할 만큼 다변화했다.

원유 정제공장
원유 정제공장

세계에서 원유 품질이 가장 좋은 제품은 말레이시아의 파티스 크루드와 미국 텍사스 중질유다. 좋은 원유의 평가 기준은 크게 2가지다. 황 함유량과 API 비중이다. 황 함유량이 적은 원유가 좋은 원유로 평가받는 이유는 불순물이 적고 환경에도 좋아 고급 원유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API 비중이 가벼운 원유가 좋은 제품이다. API 비중이 가벼우면 비싼 휘발유와 경유를 많이 뽑아낼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2가지 기준으로 고급 원유로 평가하는데 말레이시아 파티스 크루드와 미국 텍사스 WTI 원유가 가장 좋은 원유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4년 세계에서 95번째로 산유국으로 인정받았다. 원유를 수입해 정제를 하는데 높은 온도로 계속 가열하면 40도에서 휘발유가 나오고 220도에서 경유가 나온다. 이 기체를 식히면 휘발유와 경유가 된다. 이처럼 원유를 가열하여 석유를 추출 해내는 정제기술로 우리나라는 세계 5위다.

원유 수송선 현대중공업
원유 수송선 (현대중공업)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중 정제 후 수출하는 비율이 52.5%다. 내수보다 수출이 더 많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석유제품을 수출한 국가는 70개에 달했다. 수출한 국가별 비중을 보면 호주가 19.5%로 1위, 싱가포르가 12.2%로 2위, 일본이 10.8%로 3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석유제품 품목 중 수출 1위는 항공유이다. 휘발유, 경유도 수출량으로 세계 2~3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정제기술과 수출 규모를 볼 때 산유국 대한민국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도 좋을 것이다.

현대 오일뱅크 주유소
현대 오일뱅크 (주유소)